본문 바로가기

CS 이론21

디지털 논리회로 3부<드모르간의 법칙> 목차 1.부울표현과 진리치표 \({F_{1}=A{B}'+C}\) \({F_{2}=(A+C)({B}'+C)}\) 위의 두가지 식이 맞을지 어떻게 판별할까요? 가장 원론적인 방법은 지난번에 배운 AND,OR,NOT게이트를 냅다 때려박는겁니다. 히히 백문이 불여일견~ 한번 해볼까요? A B C \({B}'\) \(A{B}'\) \(A{B}'+C\) 0 0 0 1 0*1=0 0+0=0 0 0 1 1 0*1=0 0+1=1 0 1 0 0 0*0=0 0+0=0 0 1 1 0 0*0=0 0+1=1 1 0 0 1 1*1=1 1+0=1 1 0 1 1 1*1=1 1+1=1 1 1 0 0 1*0=0 0+0=0 1 1 1 0 1*0=0 0+1=1 앞의 A,B,C는 나올수 있는 경우의 수가 \(2^{3}\)이므로 총 8가지의 경.. 2024. 1. 24.
디지털 논리회로 2부 <Boolean과 게이트들> 목차 1. Boolean Algebra 쉽게 설명드리자면 공학의 목표는 자연계의 현상을 수학의 세상으로 표현시키는것입니다. 논리회로는 이와 비슷하게 디지털 시스템의 동작을 함수로 표현시키는것이 목적이지요. 이때 표현의 도구로써 사용이 되는것이 바로 Boolean Algebra입니다. Boolean Algebra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Set $({집합})$ Operator $({연산자})$ axioms $({공리,기본법칙})$ 함수는 3가지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1:1 밴다이어그램 1:1 진리표 1:N 수식 .... 이 다수의 수식과 회로는 1:1관계로 매칭이 됩니다. 2. Set, 변수 먼저 집합과 변수에 대해서 한번 논의를 해보겠습니다. Set = $\begin{Bmatrix}0,1\end{B.. 2024. 1. 24.
디지털 논리회로 1부 목차 0. 디지털과 아날로그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오래된 것들을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이런 디지털 시대에 아직도 아날로그 적인 감성을 갖고 있냐?" 대체 아날로그랑 디지털이 뭔데요? 라고 물어보면 대답을 할 사람들이 몇명이나 있을까요? 단순하게 아날로그는 옛날이고 디지털은 요즘거요 라고 말하면 아니됩니다 ㅎㅎ 이제부터 이렇게 대답합시다. 아날로그는 시간과 데이터가 연속적인 것을 의미하고 디지털은 시간과 데이터가 불연속적것을 의미합니다. 1.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알아보자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뭐가 다른지를 알아보겟습니다. 다음 그림 하나만으로 사실 설명이 끝이 날정도로 아주 쉽습니다. 먼저 시간은 말그대로 물리적인 시간의 흐름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몇초 간격이 아닌 그냥 시.. 2024. 1. 16.
컴퓨터 구조론 1부 <2진법과 트랜지스터> 목차1. 컴퓨터의 데이터는 2진법으로 표현된다.먼저, 컴퓨터의 데이터는 2진법으로 표기가 됩니다. 그러면 아마 몇몇 분들은 이 의문을 제기할겁니다.  왜 2진법을 씁니까? 3진법을 써도 되고 10진법을 써도 되잖아요?사실, 저도 왜 2진법을 쓰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고안된 2진법이 왜 아직도 쓰이는지에 대해서 말이죠. 그리고 2진법과 논리 회로가 어떤 연관이 있는지도 궁금했었습니다. 일단 논리 회로에 관한 이야기는 잠시 미뤄두고 2진법을 굳이 쓰는 이유를 먼저 생각해봅시다. 우선 그전에 트랜지스터에 관해 먼저 설명을 하는게 옳을것 같습니다.1-1. 트랜지스터의 발명트랜지스터의 역할은 쉽게 말하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일단 잠시 고등학생 시절로 돌아가서 전류와 전.. 2024. 1. 15.
컴퓨터 구조론<프롤로그> 목차 0. 컴퓨터 구조를 배우는 이유 운영체제와 컴퓨터 구조론은 땔래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운영체제에서의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컴퓨터 구조를 어느정도 이해해야 한다는 결론이 들어서 이렇게 정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책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론을 참고했습니다. (차후에 컴퓨터 구조론 원서를 보면서 내용을 더 보충하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하겠습니다.) 1. 컴퓨터 구조의 간략한 개요 먼저 컴퓨터 구조의 개요는 위와 같은 그림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컴퓨터의 네가지 핵심부품은 아래의 그림으로 이어집니다. 일단 간략하게 소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PU는 우리에게 있어서 두뇌와 같습니다. 2. 시스템버스는 I/O(Input Output)와 메모리 그리고 보조기억장치를 .. 2024. 1. 15.
데이터베이스 2장<DB시스템 용어정리> DB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총괄적인 개념 DB의 구조 스키마 : 스키마는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것 인스턴스 : 스키마의 법칙에 따라 저장된 실제 데이터 3단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 외부단계 : 개별사용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개념단계 :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내부단계 : 물리적인 저장장치의 관점에서 보는 것 쉽게 생각하면 외부단계는 아파트에서 각각의 집주인의 관점 개념단계는 아파트 관리인의 관점 내부단계는 아파트 시공사의 관점이라 이해하면 된다 매핑(=사상) : 각각의 스키마끼리의 대응관계 외부와 개념간의 관계는 외부/개념 사상 개념과 내부간의 관계는 개념/내부 사상그리고 이렇게 스키마끼리의 사상을 정의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데이터간의 ..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