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이론21

운영체제 3부<프로세스와 상태> 목차0. 들어가기에 앞서서.....먼저, 하나의 일상적인 이야기를 하고 이야기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호텔에 가면, 호텔 뷔페가 있습니다. 뷔페 메뉴를 보면 한식, 일식, 양식, 중식 등등 무궁무진하게 많습니다! 한식부, 일식부, 양식부, 중식부가 있다고 치겠습니다.   자! 여기서 뷔페 요리사들은 소수정예의 4인으로써 모든 요리를 다 할줄 알고, 반드시 하나의 요리를 한팀으로 움직여서 한다 칩시다.  그러면 각 부서에서는 주문해야 하는 요리들을 어떻게 쳐내야 할까요? 쳐내야 할 일들은 많은데, 4인의 요리사가 이걸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로세스란?우리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과연 컴퓨터는 어떻게 이를 이해하고 실행할까요? 프로세스의 정의를 보.. 2024. 10. 9.
디지털 논리회로 Part2 - 1장<가산기와 비교기> 목차 0. 조합 논리회로를 들어가며..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조합논리회로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습니다.AND,NOT,OR,NAND,NOR,XOR,XNOR 게이트Boolean과 드모르간의 법칙위의 게이트로 구성되어있는 논리회로를 간단하게 정리하는 카르노맵과 Q-M방법지금부터는 배웠던 요소들을 활용하여 조합 논리회로를 설계해보도록 하겠습니다.1. 가산기먼저 가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2진법을 계산할 때 어떻게 계산하나요?  그냥 이런식으로 대충 올림수가 있으니까 올리고, 내릴건 내리고, 머릿속으로 계산을 하거나, 10진법으로 변환해서 계산을 하고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봤듯이 컴퓨터는 엄밀하게 말하면 단순하게 게이트에 따른 논리적인 계산, 즉 T냐 F냐밖에 .. 2024. 9. 29.
디지털 논리회로 Part 2 - 0장 <조합 논리회로 VS 순차 논리회로> 목차1. 조합 논리회로 VS 순차 논리회로지금까지 저희는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그것들을 간소화시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회로에 대해서 들어갈건데요. 그전에, 조합논리회로와 순차논리회로의 차이를 한번 봅시다. 사실 딱 한가지만 차이가 납니다. 바로, 과거의 상태와 정보를 유지해야 하느냐 아니냐가 가장 중요한 차이입니다. 바로 , 예를 들어봅시다.   우리가 자판기를 설계하는 엔지니어라 생각해봅시다. 여기서 동전을 넣으면 동전을 넣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가 되어야겠죠? 자판기가 동전을 먹어버리면 아래와 같이 발차기가 날라오겠죠?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우리는 순차논리회로를 사용해서 설계하는게 맞을겁니다.   요약정리 차이점조합논리회로State가 중요하지 않다. .. 2024. 9. 29.
네트워크 이론 1부 <데이터 통신 개요> 목차1. 데이터 통신의 정의I. 데이터 VS 정보데이터와 정보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쉽게 생각하면 데이터는 가공 되지 않은 날 것, 정보는 데이터를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가공한 것으로 정의가 됩니다. 가공되지 않은 원유가 바로 데이터입니다.이를 가공처리 한 우유가 바로 정보입니다. II. 통신의 개념과 목표통신은 모두 여러분들이 아시다시피 A가 B에게 어떠한 정보를 보내는게 통신입니다.  어릴때 실전화기를 한번쯤은 만들어 본 경험이 있을텐데 이 놀이가 바로 통신의 기본개념입니다. 통신의 목표로써는 3가지가 존재합니다. I. 정확성 :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 대표적으로 해밍코드가 있음II. 효율성 :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전달III. 안정성 : 데이터의 내용.. 2024. 9. 19.
디지털 논리회로 10부<Parity Bit와 해밍코드> 목차 1. Parity Bit 패리티 비트는 아주 간단합니다. 만약 제가 여러분들에게 1001 1110 이라는 8비트 데이터를 보낸다 칩시다. 여기서 1의 숫자가 5개죠? 짝수 패리티 비트 는 8비트 데이터 뒤에 1이라는 한개의 비트를 더하여 1의 총갯수를 짝수로 만듭니다. 반면에 홀수 패리티 비트 는 8비트 데이터 뒤에 0이라는 한개의 비트를 더하여 1의 총갯수를 홀수로 만듭니다. 그러면 Parity bit를 왜 쓰냐? 데이터의 손상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해밍코드와 함께 쓰이는데 한번 쭉 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해밍 코드 해밍코드란 데이터 비트 사이사이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코드입니다. 패리티 비트의 숫자를 결정하는것은 아래의 공식을 따라가면 됩니다. 만약에 .. 2024. 2. 14.
디지털 논리회로 9부 <NAND,NOR,XOR 게이트> 목차 1. NAND, NOR, XOR 게이트 지난시간까지 우리는 AND, OR, NOT 게이트만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먼저 위의 3가지 게이트를 통해서 논리회로를 전부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번글에서는 NAND와 NOR XOR게이트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볼 계획입니다. 1-1. NAND 게이트 NAND 게이트는 NOT AND의 준말로써 다음과 같이 AND 게이트에 버블 표시를 합니다. 진리 테이블과 벤 다이어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력 X 입력 Y 출력 0 0 1 0 1 1 1 0 1 1 1 0 1-2. NOR 게이트 NOR 게이트는 NOT OR의 준말로써 다음과 같이 OR 게이트에 버블 표시를 합니다. 진리 테이블과 벤 다이어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력 X .. 2024. 2. 14.